정책자료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 번호 | 구분 | 연도 | 자료명 | 파일 | 등록일 |
|---|---|---|---|---|---|
| 982 | 연구보고서 | 2025 | [국회입법조사처] AI 혁신과 개인정보 보호, 공존의 해법 - AI 개발 데이터 수요에 대응한 「개인정보 보호법」 개편 방안(2025.10.21.) | 다운로드 | 2025-11-04 |
| 내용 |
데이터에 기반한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체계를 유연하게 개편함으로써, 기술 환경 변화에 대한 법의 수용성을 제고하고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 사이의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
||||
| 981 | 조사분석서 | 2025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글로벌 AI 거버넌스 현주소 진단과 정책 방향 : 국제기구 활동을 중심으로(2025.9.30.) | 다운로드 | 2025-11-04 |
| 내용 |
○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글로벌 협력 체계의 근본적 재편을 요구
○ 글로벌 핵심 아젠다로 부상한 인공지능
○ 윤리·규범 선언에서 각국의 주도권 경쟁으로 전환된 AI 거버넌스
○ AI 시대 글로벌 질서 재편 속 국제기구의 전략적 위상 변화
|
||||
| 980 | 조사분석서 | 2025 | [한국언론진흥재단] OTT 요금제 다변화에 따른 이용 현황 및 이용자 인식(2025.7.30.) | 다운로드 | 2025-11-04 |
| 내용 |
"OTT 2개 이상 이용한다" 70% (1인 평균 2.34개) 제일 중요한 중복이용 이유는 '오리지널 등 배타적 콘텐츠'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서베이> 11권 4호 'OTT 요금제 형태 다변화에 따른 이용 현황 및 이용자 인식' 결과 발표
|
||||
| 979 | 조사분석서 | 2025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AI와 법의 동행: 국제적 시각과 미래 과제(2025.10.31.) | 다운로드 | 2025-11-04 |
| 내용 |
본 보고서는 2025 NIA 인공지능법 글로벌 좌담회의 결과물로 발간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 AI민사책임과 정책 과제
- AI법·정책의 향후 방향성
|
||||
| 978 | 조사분석서 | 2025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트럼프 2기 AI 정책 변화와 시사점(2025.8.28.) | 다운로드 | 2025-11-04 |
| 내용 |
미국이 주도하는 새로운 AI 질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기회를 적극 활용하되, 위험을 관리하고 ‘선택과 집중’에 기반한 독자적 전략을 통해 글로벌 입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① 인프라 확대·오픈 생태계 활용: 美 진출 및 산업 컨소시엄 참여, AI 자원 및 오픈 생태계 활용
- ② 기술안보 대응·벤치마킹: 수출통제 강화로 인한 공급망 리스크 관리, 기술보호 체계·규제 정비의 계기로 활용
- ③ 선택·집중 소버린 AI: 안보 핵심 분야 등 AI 주권 확보 우선순위 탐색, 제조 AI 등 수출 동력 육성
- ④ 중견국 역할 강화: 포용적 AI 의제 주도, 미중 간 중재 역할 수행, 글로벌 사우스 연계
|
||||
| 977 | 조사분석서 | 2025 | [시청자미디어재단] 팩트체크 동향리포트(제14호) | 다운로드 | 2025-10-31 |
| 내용 |
팩트체크 동향리포트는 국내·외 팩트체크 분야 동향과 최신 핵심 이슈 등을 전하기 위해 제작된 전문 소식지입니다. 한국을 넘어서 다양한 국가의 팩트체크 정책, 기술, 현장에 관한 내용을 제공합니다.
허위정보 예방과 팩트체크 활성화에 힘쓰고 있는 모든 분들에게 좋은 읽을 거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
||||
| 976 | 연구보고서 | 2025 | [한국콘텐츠진흥원] 기술발달에 따른 콘텐츠 여가 확산과 억압 정책(2025.8.29.) | 다운로드 | 2025-10-22 |
| 내용 |
1) 한국 오락의 역사: 유흥거리와 여가로서의 미디어
2) 대중문화에 대한 제도적 억압의 역사: 새로운 미디어와 캐주얼 오락에 대한 규제
|
||||
| 975 | 연구보고서 | 2025 | [한국콘텐츠진흥원]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효과분석(2025.2.18.) | 다운로드 | 2025-10-22 |
| 내용 |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가 제작비에 미친 영향을 추정한 결과, DID 분석에서 정책효과를 보여주는 DID 교차항인 “처치 더미×기간 더미” 변수의 추정 계수값이 2.086으로 양(+)의 값을 갖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의 도입이 영상콘텐츠 제작비 투자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
||||
| 974 | 연구보고서 | 2025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4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 실태 보고서(2025.1.31.) | 다운로드 | 2025-10-22 |
| 내용 |
조사에 참여한 방송사(N=8)와 제작사(N=55) 전체 표본 규모에 차이가 있고, 상호 동일 외주제작 프로그램을 상정하여 응답한 결과가 아니라는 점에서 비교 결과 해석에 주의를 요함.
|
||||
| 973 | 조사분석서 | 2025 | [한국콘텐츠진흥원] CONTENT with AI: 2025년 콘텐츠산업 생성형 AI 활용 동향과 일자리 변화(2025.10.1.) | 다운로드 | 2025-10-22 |
| 내용 |
콘텐츠산업 사업체의 생성형 AI 활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창˙제작이 산업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콘텐츠산업 특성상 일자리 대체가 아닌 과업의 전환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이에 본 보고서에서 산업별˙기업특성별 맞춤지원으로 생성형 AI 시대에 선제 대응할 필요성을 논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