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자료

  • Home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새 창 열림
  • X 새 창 열림
  • 페이스북 새 창 열림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시청자 의견 조사 결과 표
번호 구분 연도 자료명 파일 등록일
781 정책자료 202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캐나다 방송법 개정안의 OTT 규제 시도(KISDI Perspective December 2021 No.2.) 다운로드 2024-01-25
내용
캐나다 자유당 정부는 2020년 11월 3일 방송법 개정 법안인 Bill C-10을 발의하였다. Bill C-10은 1991년 이후 20여년 만의 대대적인 방송법 개정안으로, OTT서비스를 방송법 규제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넷플리스,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 주요 OTT서비스가 방송법의 규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Bill C-10은 넷플릭스와 같은 대형 스트리밍 사업자 뿐만 아니라 이용자 제작 콘텐츠가 업로드 되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같은 소셜미디어도 규제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에 사회 각층에서 표현의 자유 침해, 검열 등의 이슈로 논란이 불거졌다.
782 조사분석서 202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주요 SVOD 서비스 제공 콘텐츠 이용행태 분석(23Q1)(KISDI OTT Report 23-01) 다운로드 2024-01-25
내용
본 보고서는 한국리서치에서 수집‧제공하고 있는 KOREA OTT INDEX(KOI)를 통해 국내 주요 SVOD서비스의 전체 이용시간 및 콘텐츠별 이용시간 자료를 토대로 국내 OTT 이용자들의 SVOD 서비스를 통한 콘텐츠 이용행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 내용은 5개 SVOD 서비스(넷플릭스, 디즈니+, 웨이브, 티빙, 왓챠)를 대상으로 시청시간 규모와 SVOD별 콘텐츠 시청시간 점유율 비교, 콘텐츠 특성별 이용현황(오리지널/비오리지널, 제작국가, 장르 등) 및 인기 콘텐츠 현황(전체 시청시간 기준 상위 200개 인기 콘텐츠 및 주요 SVOD 서비스별 상위 50개 인기 콘텐츠의 분포와 특성 등)이다.
783 정책자료 2023 [한국저작권위원회] 2023년 저작권 상담 사례집(저작권관계자료 2023-03) 다운로드 2024-01-24
내용
한국저작권위원회의 저작권 상담사례집은 실제로 진행된 공정거래 계약 상담 가운데 빈도 높은 사례들을 재구성하였고,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양도, 이용허락 계약 관련 쟁점을 시작으로 쟁점이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사례들을 분류하여 배열하였다. 사례집의 내용은 유권해석에 따른 판단이 아니고,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수사기관 및 법원의 판단과 다를 수 있으며, 한국저작권위원회의 공식적인 견해와는 무관하다.
784 정책자료 2023 [문화체육관광부‧한국저작권위원회] 생성형AI 저작권 안내서(저작권관계자료 2023-10) 다운로드 2024-01-24
내용
본 안내서는 생성형 AI 산출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이해관계를 갖는 각 주체들(AI사업자, 저작권자, AI 이용자)에게 저작권과 관련해야 유의해야 할 사항을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본 안내서는 생성형 AI 구현을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에서부터 AI 산출물 도출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 중에 법적 쟁점이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학습 및 AI 산출물 생성 부분을 중심으로, AI 사업자와 저작권자, AI 이용자가 알아야 할 내용들을 현행 저작권법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현재 제공되고 있는 생성형 AI 사례 및 관련 국내외 입법동향 등을 함께 소개하였다.
785 정책자료 2020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등록홍보 리플렛(2020년) 다운로드 2024-01-23
내용
o 발 행 처 : 한국저작권위원회 o 펴 낸 날 : 2020.12 o 페 이 지 : 2면 o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786 정책자료 2022 [문화체육관광부‧한국저작권위원회] 쉽게 읽는 저작권 이야기 다운로드 2024-01-23
내용
ㅇ 책 자 명 : 쉽게 읽는 저작권 이야기 ㅇ 발행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 ㅇ 발간년도 : 2022년 ㅇ 총페이지 : 75페이지 ㅇ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입문용 저작권 안내서_쉽게 읽는 저작권 이야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787 정책자료 2024 [문화체육관광부‧한국저작권위원회] 1인 미디어 창작자를 위한 저작권 안내서(2019) 다운로드 2024-01-23
내용
o 발행처 : 한국저작권위원회 o 발행일 : 2019. 12. o 페이지 : 164면 o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788 통계자료 2023 [방송통신위원회‧KOBACO] 2023년 방송통신광고비 조사보고서 다운로드 2024-01-23
내용
본 보고서는 2023년 7~10월 중 실시된 '2023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보고서'를 집계 분석한 것으로 조사기준 시점은 2022년입니다. 2023, 2024년 수치는 추정치이며 2024년 조사에서 변경될 수 있다. 광고산업은 크게 광고주, 광고회사, 매체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조사는 매체사의 광고매출액을 조사하여 시장규모를 산출했다. 따라서 광고주 또는 광고회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결과자료 중 광고매출액, 광고조사자 수는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추정한 수치이며, 그 외에는 조사자료 그대로를 집계한 수치이다. 옥외광고의 경우 2018년 조사('17년~'23년 결과)부터 조사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조사대상 기준 및 정의를 변경하였다. 때문에 이전 조사결과(~'16년 결과)와의 단순비교가 어려운 점에 유의해야 한다.
789 정책자료 2021 [UNESCO]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커리큘럼 개발 가이드라인 글로벌 스탠다드(Global Standards for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a Development Guidelines) 다운로드 2024-01-22
내용
UNESCO가 발간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커리큘럼 개발 가이드라인 글로벌 스탠다드 자료이다. 세계는 디지털 콘텐츠가 유통될 수 있는 고속도로를 더욱 확충하고 있다. 이는 진화하는 정보와 디지털 생태계를 이용한 생산성 향상방법에 관한 이슈를 가져왔다. UNESCO는 사회와 개인이 삶의 핵심 기술(skills)로서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여 왔다. 사람들에게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이용하며 창조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는 다양한 사업자가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및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능력을 말한다. 본 자료는 22개국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전문가가 제시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글로벌 스탠다드를 제안한 것이다.
790 연구보고서 201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방안 연구 다운로드 2024-01-19
내용
본 연구는 국내외 민주시민 교육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사례 및 연구보고, 정책현황 분석에 근거하여 민주시민 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사사점을 도출하고, 2015년 개정교육과정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민주시민 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정규교과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학습주제사전'과 '교육과정 연계 성취기준'을 개발하여, 관련 교육과정 반영과 교육운영, 수업자료 개발과 수업활용 등의 근거 자료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