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자료

  • Home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새 창 열림
  • X 새 창 열림
  • 페이스북 새 창 열림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시청자 의견 조사 결과 표
번호 구분 연도 자료명 파일 등록일
721 조사분석서 2024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OTT 시장에서 리번들링(Rebundling)이 부각되는 이유와 전망(AD&MEDIA TREND REPORT Vol.2. 2024.3.) 다운로드 2024-03-25
내용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서 발간한 'OTT시장에서 리번들링이 부각되는 이유와 전망(AD&MEDIA TREND REPORT Vol.2. 2024.3)' 보고서이다. 넷플릭스의 부상에 따라 헐리우두 미디어 기업들은 직접 플랫폼을 만들어 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최근 미디어 기업들이 기존 이해관계를 떠나 합종연횡하면서 번들링이 기존보다 큰 규모로 일어나면서 '그레이트 리번들링(Great Rebundling)'이라는 용어가 회자되고 있다. 헐리우드에서는 네트워크 파편화 이용자 이탈을 막기 위해 경쟁사간 더 많은 번들링 및 라이선싱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현재의 미디어 시장에서 기존 문법을 해체하고 리번들링 전략이 일어나는 사례와 이유를 살펴보고 향후 진행방향을 전망하였다.
722 조사분석서 2023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국내외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현황과 발전방향(AD&MEDIA TREND REPORT Vol.4. 2023.11.) 다운로드 2024-03-25
내용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가 발간한 '국내외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현황과 발전방향' 보고서이다. FAST는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로, 별도의 구독절차 없이 인터넷 연결만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FAST는 큰 스크린을 통한 편안한 콘텐츠 시청경험 제공, 린백(lean-back) 시청 환경 제공, 매력적인 광고매체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이용자의 광고 회피 성향, 매력적 콘텐츠 부족, 중복채널 증가 등의 약점도 있다. 그럼에도 SVOD, IPTV 신규가입자 증가율이 둔화되고 구독피로 증가, 스트리밍 서비스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우호적 태도, 스마트TV 보급증가 등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723 연구보고서 2016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방송 개념 재정의를 통한 규제체계 개선 방안 연구 다운로드 2024-03-22
내용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서 발간한 '방송 개념 재정의를 통한 규제체계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이다. 이 연구는 EU의 2016년 시청각미디어서비스지침 개정 제안서를 중심으로 EU의 규제프레임워크 현대화의 배경과 목표 그리고 접근방식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또한 EU가 채택한 공통적 규제틀을 국내법으로 수용하고 있는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의 입법 사례 및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외에 학계와 업계 전문가 대상 심층인터뷰를 통해 해외 동향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국내 방송광고 규제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점검하였다.
724 정책자료 2023 [시청자미디어재단] 2023 마을 공동체 미디어활동 지원사업 참여수기 모음집 다운로드 2024-03-21
내용
2023년 마을 공동체 미디어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한 마을공동체활동가들의 미디어활동 수기 모음집이다.
725 연구보고서 202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산업 트렌드 2023(기초연구 2023-02) 다운로드 2024-03-19
내용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간한 '콘텐츠산업 트렌드 2028(기초연구 2023-02)'이다. 이 보고서는 '20년 진행된 '콘텐츠산업 트렌드 2025'에서 제시된 내용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한편 향후 5년 간 콘텐츠 산업 트렌드를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산업의 주요 변화 동인을 분석하고 주요 이슈들을 식별하여 콘텐츠산업 핵심 트렌드를 제시한다. 연구범위는 2023년 기준 향후 5년 내 콘텐츠 분야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자료를 참고하되 콘텐츠산업 가치사슬(투자, 기획/제작, 유통, 소비)을 염두에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전문가 FGI, 전문가 FGD, 델파이조사, 미디어 스캐닝 등이다.
726 조사분석서 202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 장르(콘텐츠산업 동향 브리프 24-2호) 다운로드 2024-03-19
내용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간한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 장르(콘텐츠산업 동향 브리프 24-2호)'이다. 보고서는 콘텐츠 및 매체 이용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 이용동기와 선호장르를 파악하였다. 이용동기는 재미‧즐거움이 41.0%로 가장 크며, 휴식/시간보내기 28.4%, 정보탐색 6.3%, 습관 5.7%, 새로운 경험/체험과 자기계발이 각각 4.5%, 학습/교육/배움 3.5%, 팬덤/팬십 2.9%, 사회관계 2.7%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장르는 온라인 영상콘텐츠 매체별 선호 장르가 상이하고, 온라인에서 선호되는 음악 장르는 오프라인에서도 선호, 극장용 콘텐츠 선호 장르 유사, 소비층(성별‧연령)별 주 선호 장르에서 차별화가 나타났다.
727 정책자료 2024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어 교육 모듈 -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를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 다운로드 2024-03-19
내용
시청자미디어재단의 '미디어교육 모듈-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를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 자료이다. 본 모듈은 UNESCO의 MIL교육 커리큘럼, EU의 DigComp 2.2. 프레임워크, 캐나다 미디어스마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10개의 미디어교육 핵심주제를 기준 틀로 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상 미디어교육 관련 주요내용(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을 반영하여 개발된 것이다. 특히 국제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미디어교육 주제들을 포함하면서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지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728 정책자료 2018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유럽연합 시청각미디어 서비스 지침(EU Audiovisual Media Services Directive, 2018년 10월 개정안) 다운로드 2024-03-18
내용
본 지침은 유럽의회 및 이사회가 회원국의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 공급에 관한 법률, 규정, 행정 조치에 정해진 조항들의 조정을 위한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 지침(Directive 2010/13/EU)을 시장 상황의 변화를 반영하여 개정한 것이다. 1989년에 채택된 국경없는 TV지침(Directive 89/552/EEC)은 2007년 제정된 시청각미디어 서비스 지침(Directive 2007/65/EC)에 의해 상당 폭으로 개정되었고 이는 2010년 시청각미디어 서비스 지침(Directive 2010/13/EU)으로 명문화되었다. 이후 텔레비전과 인터넷 서비스가 꾸준히 융합되면서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 시장은 단기간에 괄목할 만한 수준으로 진화하였다. 기술발전은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와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용자의 시청습관 또한 크게 바뀌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텔레비전은 여전히 시청각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지만 다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시청각 콘텐츠를 시청하는 이들도 많아진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미디어 융합이 가속화함에 따라 기존 법체계를 정비하여 시장의 새로운 변화를 반영하는 한편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접근권, 소비자 보호, 서비스 경쟁력 간에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729 조사분석서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벌 OTT 동향분석(2023 Vol.4) 다운로드 2024-03-18
내용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글로벌 OTT 동향분석(2023 Vol.4) 자료이다. 주요내용은 1. 심층이슈분석(국가별 IP 및 콘텐츠산업 보호‧육성 전략, FAST는 빠르게 성장 중), 2. 트렌드분석, 3. 동향 브리프, 4. 전문가 기고, 5. 글로벌 OTT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730 연구보고서 202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3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 실태 보고서 다운로드 2024-03-15
내용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2023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 실태 보고서'이다. 본 조사는 2017년 12월 범부처 차원에서 마련된 '방송프로그램 외주제작시장 불공정관행 개선 종합대책'에 따른 것으로 2019년부터는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공동 주관으로 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 거래 관행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방법은 조사대상 방송사와 조사 해당연도 외주제작 실적이 있는 제작사를 매칭하여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항목은 외주제작 거래 관행 개선 필요성, 표준계약서 활용여부, 제작비 현황, 권리/수익 배분 등의 문항이며, 3개 장르(드라마, 예능, 정보/교양/다큐)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장르별 방송사의 관행 차이를 보기 위하여 지상파와 종편PP 간 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