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료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번호 | 구분 | 연도 | 자료명 | 파일 | 등록일 |
---|---|---|---|---|---|
711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방송통신서비스 이용자보호 이슈리포트(2024년 1호) | 다운로드 | 2024-03-29 |
내용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발간한 '방송통신서비스 이용자보호 이슈리포트(2024년 1호)'이다. 기획리포트로 OTT산업의 성장 정체와 관련이슈를 분석하였다.
|
||||
712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인터넷진흥원] 글로벌 디지털 산업‧정책 주간동향(2024년 2월 통합) | 다운로드 | 2024-03-28 |
내용 |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간한 '글로벌 디지털 산업‧정책 주간동향(2024년 2월호)' 자료이다.
[글로벌 인터넷 플랫폼 산업·정책]
● 미국 법무부, 구글 상대로 광고 기술 관련 반독점 소송 제기
● AI 생성 이미지 식별을 위한 메타, 오픈 AI 새로운 정책 발표
● 메타·틱톡, 디지털서비스법(DSA) 관련 소송 제기
● EU, 애플에 반독점법 위반으로 약 5억 유로의 첫 과징금 부과
● 구글, 생성형 AI 챗봇 ‘제미나이’ 모바일 앱 출시
● 인도 구글 인앱결제 분쟁, 플레이스토어 삭제 일시중지 요청
● EU, 애플의 웹 앱 차단에 대해 조사 추진 예정
● 인도 폰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Indus Appstore 출시
● 글로벌 빅테크, AI가 생성한 선거 허위정보 퇴치를 위한 공동협약 체결
● 유럽 미디어 기업 30곳, 구글 상대 3조원 손해배상 소송
● 구글 AI 모델 제미나이(Gemini), 이미지 생성 기능 잠정 중단
● 러시아, 애플 대상 앱 마켓 다양성 요구
|
||||
713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정보보호 법제동향(2024년 2월, 제197호) | 다운로드 | 2024-03-28 |
내용 |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간한 '인터넷·정보보호 법제동향(2024년 2월, 제197호) 자료이다.
▶ 국내 입법 동향
<공포된 법령>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2024. 2. 13. 공포)
• 「자동차관리법」 일부개정(2024. 2. 13. 공포)
• 「가상융합산업진흥법」 제정(2024. 2. 27. 공포)
• 「사이버안보 업무규정」 일부개정(2024. 2. 27. 공포대기)
<국회 제출 법률안>
•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박성중의원 대표발의, 2024. 2. 15. 제안)
•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이개호의원 대표발의, 2024. 2. 27. 제안)
▶ 해외 입법 동향
<미국>
• 미국 하원, 인공지능을 사용한 로보콜 및 텔레마케팅 제재 조치 강화를 위한 「방해금지법(안) (Do Not Disturb Act)」 발의(2024. 1. 29.)
• 미국 상원, 「노골적인 위조 이미지 및 비동의 편집 방지법(안)」 발의(2024. 1. 30.)
|
||||
714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정책리포트_허위정보 대응을 위한 EU의 협업 프로젝트, 유럽 디지털 미디어 관측소(EDMO)의 현황과 시사점(2024년 1호) | 다운로드 | 2024-03-28 |
내용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미디어정책리포트(2024년 1호)' 자료이다.
허위정보 대응을 위한 EU의 협업 프로젝트, 유럽 디지털미디어 관측소(EDMO)의 현황과 시사점
- 허위정보 대응을 위한 EU의 협업 프로젝트 '유럽 디지털 미디어 관측소(EDMO)', 유럽 전역으로 확대
- '유럽 디지털 미디어 관측소' 사례가 주는 두 가지 시사점
① 효과적인 허위정보 대응을 위해서는 팩트체킹을 넘어 정보 메커니즘에 대한 언론과 시민의 이해가 필요
② 이를 위해 언론인, 연구자, 미디어교육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연대의 장이 마련돼야
|
||||
715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언론진흥재단] '사이버렉카'(이슈 유튜버) 제작 유명인 정보 콘텐츠 이용 경험 및 인식(미디어이슈, 2024년 1호) | 다운로드 | 2024-03-28 |
내용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미디어이슈(2024년 1호)' 자료이다.
<'사이버 렉카'(이슈 유튜버) 제작 유명인 정보 콘텐츠 이용 경험 및 인식>
"사이버 렉카(이슈 유튜버), 유명인 자살에 영향 미친다" 93%
"사이버 렉카는 사회문제다" 92%
■ "유명인 자살에 영향 미친다" 요인별 동의 비율
▲'사이버 렉카들의 근거 없는 의혹 제기' 93%, ▲'유명인에 대한 세간의 지나친 관심' 93%, ▲'이용자들의 비방·모욕 댓글(악플)' 93%,
▲'언론의 부정확한 보도' 92%, ▲'수사기관의 부적절한 대응' 91%, ▲'당사자의 소극적 방어 태도나 대응' 75%
■ '사이버 렉카'가 사회문제라는 인식, "동의한다" 92%
■ '사이버 렉카' 문제가 근절되지 않는 이유
▲'사이버 렉카의 비윤리성' 93%, ▲'언론의 책임 소홀' 91%, ▲'이용자 수요에 따른 공급' 90%,
▲'콘텐츠 유통 플랫폼의 책임 소홀' 88%, ▲'규제 당국의 책임 소홀' 87%
■ "사이버 렉카 제작 콘텐츠 의도적 회피 경험 있다" 53%
|
||||
716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과 방송(2024년 3월호) | 다운로드 | 2024-03-28 |
내용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신문과 방송(2024년 3월호)' 자료이다.
|
||||
717 | 연구보고서 | 2022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미디어 중장기 법제정비 방안(2022.3.) | 다운로드 | 2024-03-28 |
내용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방송미디어 중장기 법제정비 방안'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미디어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공공미디어서비스의 공적 가치, 공적 책무, 서비스 운영 등을 규정하는 공공미디어법과 디지털동영상미디어의 혁신을 담는 디지털동영상미디어법으로 구분하고, 디지털미디어 관련 분산된 규율체계를 통합, 체계화함으로써 시장예측 가능성 및 일관된 정책 추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
||||
718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콘텐츠진흥원] 미국 콘텐츠 산업동향(2024년 1호) | 다운로드 | 2024-03-27 |
내용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4년 미국 콘텐츠 산업동향(2024년 1월호)' 자료이다. 2021년 팬데믹 종식 이후 M&E산업은 10.6%의 높은 연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나 이 반등이 잦아들며 큰 폭의 감소가 전망되었다. PwC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미국의 M&E산업이 2.8% 낮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본 리포트는 PwC, 딜로이트 등 리서치기업이 내놓은 2024년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망보고서를 정리한 것으로, 성장률 둔화가 예고된 이 산업을 게임, 스트리밍, 라이브 이벤트, 융복합 및 소셜미디어 분야로 나누어 2024년 산업의 트렌드를 짚어본다.
|
||||
719 | 조사분석서 | 2024 |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2024년 1호) | 다운로드 | 2024-03-27 |
내용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4년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2024년 1호)' 자료이다. 2023년 중국 전역의 문화 및 관련 기업 매출액은 약 13조 위안으로 2022년 대비 8.2% 증가하였다. 이중 웨어러블기기 제조, 디지털 출판, 엔터테인먼트 지능형 무인 항공기 제조 등 신사업 분야 영업이익 증가율이 15% 이상에 달해 업계 내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 문화 및 관련기업의 영업이익은 1조 1,56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0.9% 증가하여 여러 위기론 속에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본 보고서는 중국 콘텐츠 업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해당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눈을 통해 2024년 중국 콘텐츠 산업의 향방을 예측하고 주목해야 할 만한 포인트를 10가지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
||||
720 | 통계자료 | 2024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웨어러블 기기 이용현황 분석(KISDI STAT Report Mar. 15. 2024) | 다운로드 | 2024-03-25 |
내용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웨어러블 기기 이용현황 분석' 자료이다. 스마트폰 대중화와 함께 건강관리에 관한 관심은 웨어러블 기기의 수요로 이어졌으며, 안경, 반지 등으로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 자료에서는 한국미디어패널 조사결과를 토대로 최근 5년 동안 웨어러블 기기 이용현황을 분석하였다. 웨어러블 기기 보유율은 2023년 기준 25.9%이며, 3.9%는 2대 이상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2023년 응답자들은 웨어러블 기기 종류 중 스마트워치(55.7%)와 무선이어본(40.1%)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이용목적으로는 엔터테인먼트(40.3%)와 헬스케어(32.2%) 기능을 꼽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