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자료

  • Home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새 창 열림
  • X 새 창 열림
  • 페이스북 새 창 열림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시청자 의견 조사 결과 표
번호 구분 연도 자료명 파일 등록일
621 연구보고서 2022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 대전환 환경에서 보편적시청권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연구(KCC-2022-23)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방송통신위원회의 위탁을 받아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가 수행한 '디지털 대전환 환경에서 보편적시청권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연구(KCC-2022-23)' 보고서이다. 본 연구는 국민적 관심이 큰 체육경기대회 및 그 밖의 주요행사 고시 재검토 기한(2022년 12월 31일)의 도래에 따라 관련 고시 개정 필요 여부에 대한 논리를 검토하고 국민인식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고시 개정 방향과 중장기적 보편적 시청권 제도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622 조사분석서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위클리글로벌(379호, 2024.5.13.)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위클리글로벌(379호, 2024.5.13.)' 자료이다.
623 연구보고서 202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디지털인재를 어떻게 양성할까(연구보고23-기본11)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간한 '청소년 디지털인재를 어떻게 양성할까?(연구보고23-기본11)' 보고서이다. 이 연구는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등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디지털 인재가 갖춰야 할 역량을 분석하고 미래 주역인 청소년을 디지털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624 조사분석서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호주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호주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자료이다.
625 조사분석서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필리핀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필리핀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자료이다.
626 조사분석서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도네시아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3호)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인도네시아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3호)' 자료이다.
627 조사분석서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싱가포르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싱가포르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자료이다.
628 조사분석서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말레이시아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말레이시아 콘텐츠산업 동향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자료이다.
629 조사분석서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뉴질랜드 콘텐츠산업 조사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다운로드 2024-05-17
내용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뉴질랜드 콘텐츠산업 조사_한국 콘텐츠 선호도 조사결과(2024년 2호)' 자료이다.
630 연구보고서 202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미디어 분야 자율규제 제도화 방안 연구(기본연구 23-10) 다운로드 2024-05-16
내용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발간한 '방송미디어 분야 자율규제 제도화 방안 연구(기본연구 23-10)'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방송과 인터넷이 융합되는 디지털 전환 국면에서 방송미디어 분야에서 자율규제 제도화의 적합성 및 필요성, 상정 가능한 자율규제 모델을 식별하고, 자율규제가 적용될 수 있는 방송미디어 분야와 단위 규제들을 도출, 해당 분야 자율규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